오늘 회사 친구들이랑 한 잔하다가 우연히 나온 주제.
피터의 법칙인데...
말 나온김에 생각나서 스크랩 해둔다.
여기저기 블로그에서 짜집기 한 글들.
처세술, 경영학, 인력 관리 등 이런 분야는 그다지 좋아하지 않지만 공감이 많이 되는 이야기라....
콜럼비아대 교수였던 로렌스 피터와 작가 레인드 힐이 1969년에 함께 쓴 책의 제목.
대기업 또는 특히 공공 기업에서 피고용인이 무능력의 수준까지 승진하게 되는 경향을 말한다. 즉 특정 분야의 일을 잘 해내면 그 능력을 인정받아 승진하게 되고 다른 분야까지 담당하게 됨 으로써, 직위가 높아질 수록 오히려 능률과 효율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무능력의 수준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때문에 조직은 이를 벗어나기 위해 전통적인 연공 서열 제도에서 탈피, 능력별 성과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피터의 법칙은 활기찬 조직이 머잖아 무능력에 빠지는 이유를 '승진' 때문이라고 한다. 한두 차례의 승진은 능력 덕분이지만 마지막 승진은 무능력한 단계로의 이행이라는 것. 게다가 무능한 상사는 유능한 부하를 견제하고자 업무 성과보다 업무 태도로 평가하는 오류를 범해 조직의 무능을 확대 시킨다. 그렇다면 무작정 승진을 위해 일에 몰두하는 사람들도 더 이상의 미덕의 주인공은 아닌 셈이다. 이런 사람이 많을 수록 결국 조직은 무능한 사람들로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더욱더 비극적인 일은, 무능하지만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조직에 더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창의적인 사람들을 쫓아내고 있을 지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즉 피터의 법칙은 인간은 항상 자신의 무능력의 단계에 도달할 때 까지 노력을 계속한다는 걸 기본 명제로 삼아서 결과적으로 조직은 무능력자로 구성된다는 아이러니를 설명하는 법칙이다. 이러한 경향 때문에 조직의 폐쇄성와 연공서열적 타성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모든 부서는 무능한 자들로 채워지고 아직 무능력의 수준에 도달하지 않은 사람들이 작업을 완수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발생한다.
피터는 이러한 무능력자들이 어디에도 존재하고 이들이 때로는 나라, 회사, 정당, 군대나 기타 조직을 망가뜨린다고 경고한다.
하지만 인간이 스스로 본인의 능력의 한계를 깨닫고 더 이상 승진을 꾀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지 않는 한, 이런 법칙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고 한다.
가끔식 '저렇게 무능한 사람이 어째서 저런 위치에 올라가 있을까?"라고 생각이 드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가 그 사람의 무능력의 단계에 도달해 있다는 것이다.
아무리 애를 쓰고 노력해 봤자 자신은 무능력의 단계에 도달해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발전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자신의 무능력의 단계를 알 수 있다면 무능력 단계 바로 직전, 그러니까 자신의 최대한의 능력을 끌어낼수 있는 자리를 찾을 수 있다는 논리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성공을 위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내거나 능력 이상의 것을 하려고 노력하는데, 피터의 법칙으로는 자신의 능력과 에너지가 소진되기 전에 멈추기를 권장한다. 그래야만 무능력 수준에 도달하지 않고 행복한 삶을 누릴수 있다는 것이다.
대게의 조직은 위계질서 사회이다. 이 조직 구성원들이 따르게 되는 것이 피터의 법칙이다.
1. 조직 내에서는 승진은 실력보다 사무실 정치가 중요하다. 특히 상사가 무능한 경우는 그렇다.
2. 조직 내에서는 무능한 사람들이 우글그리고 몸값 혹은 밥값 이상을 만들어 내는 사람은 언제나 소수에 불과하다. 치열한 환경에 노출되어 벼랑끝에 선다고 가정하면, 상당수는 구조조정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다.
3. 무능한 사람들은 큰 잘못을 저지르지 않는 한 예상보다 훨씬 오래 자리에 머무를 수 있다. 때로는 그들끼리 힘을 합쳐서소수의 유능한 자를 몰아내기도 한다.
4. 소수의 뛰어난 자들은 늘 혹사당한다. 그들은 조직내의 일을 대부분 처리하고 보수는 형평의 이름으로 연공서열에 따라 나눠갖는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모든 위계 조직이 최대한의 성과를 내려는 본질 때문에 종종 구성원들의 역량을 넘어서는 성과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5. 대부분 조직원들은 아주 바쁜 것 처럼 보이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있는 힘을 다해서 일을 하는 사람의 숫자는 손에 꼽을 정도로 작은 숫자다.
유시민이 '후불제 민주주의'라는 책에 쓴 보건복지부 장관 시절 이야기에서 다룬 피터의 법칙 이야기.
자신의 무능을 인지할 수는 있지만 인정하기는 매우 어렵다. 자존감이 무너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무능이 입증되는 지위까지 승진한 사람들은 자신의 무능이 나태함에서 나온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더욱 열심히 일하여 무능을 감추려고 한다. 점심을 먹지 않고 일하고, 일거리를 집에 가져간다. 쓸데없이 일찍 출근하고 일이 없어도 야근한다. 책상 정리에 목숨을 걸거나, 산더미처럼 서류를 쌓아놓지 않으면 좌불안석이 되거나, 하루 종일 전화기를 붙들고 쉴 틈 없이 누군가와 통화를 하거나, 부하 직원이 가져온 완벽한 결제 서류에 대해서 하다못해 글자 크기를 가지고서라도 시비를 걸지 않으면 견디지 못한다거나, 간부 회의에서 들은 정보를 직원들에게 전파하지 않고 혼자 독점할 때 웬지 모를 안도감을 느낀다거나, 여하튼 별 의미없는 무언가에 몰두함으로써 자신과 남을 괴롭히고 조직의 업무 진행을 방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