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
OS X kernel panic by version mis-match기술 2012. 7. 7. 14:24
해킨토시 사용할 경우 Snow Leopard 10.6.6에서 10.6.8로 업데이트 한 후에는 바로 리부팅 하지 말고,SleepEnabler patch를 해주어야 한다. 필요하다면 Legacy_kernel 설치도 해주어야 한다. 이 생각을 못하고 바로 리부팅 했다가 kernel panic에 빠져 한 달째 진입을 못하고 있다.kernel panic은 "Version mis-match between kernel and CPU xx/xx/xxx etc.."라는 형태이다.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chameleon boot flag에 pmVersion=0으로 주어 부팅한 후에sleepenabler를 설치해 주면 된다고 한다. http://www.tonymacx86.com/viewtopic.php?f=3&t=1639..
-
시스템 full backup을 외장 sdcard에 하기 /sdcard-ext기술 2012. 1. 20. 10:08
CWM recovry가 가장 확실한 백업 방법이라고 하지만 기본적인 시스템이 작동되어야 하고, 루팅된 기기는 필수 요건이다. 기기가 정상 작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버튼을 눌러 휴대폰 전원이 들어올때 초록색 LED 램프가 켜지는 순간 볼륨 다운을 눌러서 부트 옵션을 선택하는 메뉴로 들어간다. 여기서 RSD lite를 사용하거나 fastboot 모드로 들어가 moto-fastboot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좀 더 low level의 시스템 접근이므로 좀 더 자유도가 높다. CWM recovery에 비해 많이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며, 임베드 기기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으면 접근 자체가 어려울지도 모르지만 이런 접근 자유도로 인해 알아두어 야 할 것 같다. XDA-developer 사이트에 a..
-
CWM recovery란 무엇인가기술 2012. 1. 19. 15:22
아트릭스와 같은 모바일 기기 뿐 아니라 PC에서도 시스템을 해킹하기 전에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작업이 백업이다. 백업을 해두면 실패했을 경우 최소한 시작점으로 되돌아 갈 퇴로는 확보한 것이다. 백업을 안 하면 그 동안 왔던 길이 잘못된 길이 었을 경우 되돌아 갈 곳이 없어지게 된다. 물론 A/S 센터에서 복구를 할 수 도 있지만 루팅이나 부트로더 수정의 경우는 유상 수리이므로 기기값을 넘는 수리비 지출을 각오해야 한다. 이런 점을 알면서도 기본적인 백업 툴부터 확인해 보지 않고 덜컥 루팅, 우분투 설치에 도전했다가 실패하고 보니 역시 기본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깨닿게 된다. 소잃고 외양간 고치기 겠지만... 공장 초기화로 되살리지 못하는 모바일 기기 자료들을 파티션 단위로 전체 백업과 복구를 수행하..
-
fastboot을 이용한 플래싱기술 2012. 1. 19. 15:10
또 다른 기초 지식으로 fastboot을 이용하여 usb를 통해 파티션 이미지를 심는 것에 대한 기본 설명. http://www.freeyourandroid.com/guide/fastboot-guide Fastboot Guide What is Fastboot?Fastboot is a command line tool used to directly flash the filesystem in Android devices from a host via USB. It allows flashing of unsigned partition images. It is disabled in most production devices since USB support has been disabled in the bootloade..
-
안드로이드 기기의 해킹을 위한 필수 기초 지식기술 2012. 1. 19. 15:07
아트릭스에 포함된 우분투는 모토롤라에서 커스터마이징을 한 것으로, 일반적인 apt-get 이나 synaptics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우분투 repository 파일을 사용할 수 없다. update repository source 파일을 수정하여 apt-get upgrade를 수행하는 방법이 가능할 수도 있으나, 이런 경우 모토롤라에서 설정을 변경한 파일들까지 덮어씌워버려 시스템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내가 그런 상황에 처했다. 하드디스크도 아닌 플래쉬 메모리에 롬을 해킹하는 작업인데,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할 사전 작업인 펌웨어 백업도 해 놓지 않고 인터넷에서 찾은 full ubuntu 설치 스크립트를 직접 아트릭스에 띄운 터미널에서 실행했다. 그 결과 apt-get install 단계에서 ..
-
Tesla roadster 생산 중지기술 2011. 6. 24. 11:20
감세, 복지 등의 이슈를 이야기 할 때 보수와 진보 간에 핵심적으로 논란이 되는 경제적 효과가 하나 있다. 바로 낙수 효과 또는 trickle down effect 라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부자 세금을 깍아주면 부자들이 소비 여력이 높아지므로 돈을 더 쓰게 되고, 그렇게 돈을 쓰면 시중에 돈이 풀리니 서민 경제도 잘 돌아가게 된다는 말이다. 미국 레이건 정권이래 보수파들이 감세를 주장하면서 논거로 드는것이 이것이고, 우리나라도 이명박의 747 공약 박근혜의 줄푸세 공약이 이 효과에 기반을 두고 있다. 반대 측에서는 이 효과가 경제적으로 입증된 바가 없으며, 반대로 빈부 격차가 더 심해진다는 연구도 있다고 한다. 결국 복지 증진을 통해 서민층의 소비 여력을 늘려주어야 국가 전체 경제 활성화에 더 영향..
-
GM, LG 화학이 배터리 관련 특허 사용권 획득기술 2011. 1. 11. 15:48
플러그인 전기차 volt를 생산하는 GM이 미국 국가 연구소인 argonne 연구소의 리튬 이온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킬 신기술에 대한 사용에 관한 라이센스를 획득. GM에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하는 LG 화학도 자연스럽게 이 기술에 대한 라이센스 획득. layered/layered manganese-rich composite cathode 소재 관련 기술이라는데 리튬과 망간이 많이 함유된 복합재를 이용하면 리튬 계열 배터리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 시킨다고. 배터리 에너지 밀도를 2배로(사용시간), 최대 전압으로 충전을 가능하게(충전 시간) 해준다고 한다. 또한 배터리 수명을 늘려주기까지 하는데다 폭발 위험이 상존하는 리튬 계열 배터리의 안전성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다고 한다. 이제 전기자동차로 잃어버린 시장..
-
F-22 실종 & F-35 crack 발견기술 2010. 11. 18. 16:06
20101. 11월 16일에 알래스카 기지에서 이륙한 미공군 F-22 한 대가 실종. 정상적인 훈련 수행 중 레이더에서 사라졌다고 함. 같은날 시험 비행 중인 F-35의 bulkhead에서 crack이 발견됨. 그에 따른 피로 시험이 수행 중. 11월 17일 실종된 F-22가 떨어진 장소를 알래스카 방위군 헬기가 발견했으나 착륙은 하지 못했음. http://blogs.star-telegram.com/sky_talk/2010/11/cracked-f-35-missing-f-22.html Cracked F-35, missing F-22 A busy morning in the defense aviation world. First, it was reported by Aviation Week and confirme..